공매도 이해하기: 숏 포지션 전략과 하락장에서 수익 내는 방법
공매도는 주식 투자에서 가장 논쟁적이면서도 오해가 많은 영역이다 . 일반 투자자들은 주가가 오를 때만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, 공매도를 활용하면 주가가 떨어질 때도 수익을 낼 수 있다 .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팔고 나중에 싸게 사서 갚는 원리인데 ,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일반 매수보다 훨씬 복잡하고 위험한 전략이다 . 한국에서는 공매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데 , 세력들이 악의적으로 주가를 떨어뜨린다는 오해 때문이다 . 하지만 선진국 시장에서는 공매도가 시장의 가격 발견 기능을 돕고 과대평가된 기업을 견제하는 순기능을 한다고 인정받는다 . 물론 무분별한 공매도는 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어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.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 공매도는 고급 전략에 속하며 ,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시도하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. 이론적으로는 손실이 무한대일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. 공매도의 작동 원리와 실제 거래 프로세스 공매도의 기본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면 먼저 주식 대차거래를 알아야 한다 . 투자자가 직접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팔려면 누군가에게 빌려야 하는데 , 이때 증권금융회사나 다른 투자자로부터 주식을 대여받는다 . 예를 들어 A 라는 주식이 현재 만 원인데 곧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, 100 주를 빌려서 만 원에 팔아 100 만 원을 받는다 . 나중에 주가가 8 천 원으로 떨어지면 80 만 원을 들여 100 주를 다시 사서 빌린 사람에게 돌려준다 . 이 과정에서 20 만 원의 차익이 발생한다 . 물론 여기서 대여 수수료와 거래 수수료를 빼야 실제 수익이 나온다 . 만약 예상과 달리 주가가 1 만 2 천 원으로 오르면 120 만 원을 들여 주식을 사야 하므로 20 만 원의 손실이 생긴다 . 더 무섭운 것은 주가가 계속 오르면 손실이 무한정 커진다는 점이다 . 일반 매수는 최대 손실이 투자 원금인 반면 , 공매도는 이론적 손실 한도가 없다 . 실제 거래 과정을 보면 먼저 증권사에 공매도 계좌를 개설해야...